(사진 출처 - 교보문고)
필즈상을 거부하고 은둔한 기이한 천재 수학자 이야기
100년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
가스가 마사히토 지음
이수경 옮김
조도상(건국대 수학교육과 교수) 감수
살림Math
이수경 옮김
조도상(건국대 수학교육과 교수) 감수
살림Math
페렐만 박사, 필즈상을 거부하다니, 미친 거 아닙니까?
필즈상을 거부하고 사라진 천재 수학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2006년 8월 22일,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국제수합연합이 주최하는 필즈상 수상식이 열렸다. 필즈상은 4년에 한 번 수학계에서 뛰어난 공적을 쌓은 수학자 몇 명에게만 주는 수학계 최고의 영예로운 상으로, 수상자가 적다는 점에서 노벨상 이상으로 권위가 있다.
이 해의 필즈상은 푸앵카레 추측의 해법을 제시한 수학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사실을 아무도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세기의 난제라는 푸앵카레 추측을 푼 40세의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렌만 박사는 수상을 거부하는데…. 페렐만 박사는 수학자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예를 왜 거부했을까? 그리고 우주의 형태를 해명하는 푸앵카레 추측이란 도대체 어떤 난제인가?
이 책은 일본 NHK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100년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를 책으로 엮은 것으로, 저자 가스가 마사히토는 이 작품의 프로듀서를 맡았다. 다양한 관련 사진과 자료를 통해 저자는 푸앵카레 추측 해결의 궤적을 찾아 떠난다. 푸앵카레의 고향인 프랑스 낭시와 페렐만 박사가 은둔하고 있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교와 UC버클리 등을 일주하며 푸앵카레 추측이라는 괴물에 도전한 수학자들의 순수한 열정과 고통이 만들어 낸 장대한 드라마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출처 - 교보문고 책소개)
필즈상을 거부하고 사라진 천재 수학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2006년 8월 22일,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국제수합연합이 주최하는 필즈상 수상식이 열렸다. 필즈상은 4년에 한 번 수학계에서 뛰어난 공적을 쌓은 수학자 몇 명에게만 주는 수학계 최고의 영예로운 상으로, 수상자가 적다는 점에서 노벨상 이상으로 권위가 있다.
이 해의 필즈상은 푸앵카레 추측의 해법을 제시한 수학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사실을 아무도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세기의 난제라는 푸앵카레 추측을 푼 40세의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렌만 박사는 수상을 거부하는데…. 페렐만 박사는 수학자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예를 왜 거부했을까? 그리고 우주의 형태를 해명하는 푸앵카레 추측이란 도대체 어떤 난제인가?
이 책은 일본 NHK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100년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를 책으로 엮은 것으로, 저자 가스가 마사히토는 이 작품의 프로듀서를 맡았다. 다양한 관련 사진과 자료를 통해 저자는 푸앵카레 추측 해결의 궤적을 찾아 떠난다. 푸앵카레의 고향인 프랑스 낭시와 페렐만 박사가 은둔하고 있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교와 UC버클리 등을 일주하며 푸앵카레 추측이라는 괴물에 도전한 수학자들의 순수한 열정과 고통이 만들어 낸 장대한 드라마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출처 - 교보문고 책소개)
2009년 12월, 기말고사가 끝나고 아이들에게 보여줄 자료를 찾던 중 발견한 ebs다큐프라임 수학3부작 중 3탄, <사라진 천재 수학자>를 보고 급 끌린
수학자 페렐만의 이야기와 푸앵카레 추측에 관한 이야기.
이 책과 함께 <푸앵카레가 묻고 페렐만이 답하다>라는 책도 함께 샀는데
(사진 출처 - 교보문고)
<푸앵카레가 묻고 페렐만이 답하다>라는 책은 조금 어려워서 최소한 고등학교에서 이과를 선택한 사람들이 보기 괜찮을 듯하고
이 책은 수학을 잘 모르는 누구나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수학에 문외한이라 밝히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이 책을 위해 인터뷰에 응해준 많은 수학자들이 최대한 쉽게 설명해 주고, 수학을 다른각도로 보면 새로운 세상이 보인다는 것을 정말 새롭게 보여주고 있어, 우리 아이들에게도 (전부는 아니더라도 영재교육원을 준비하는 아이들뿐이라도 ㅠㅠ) 적극 권장해 주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미하일 그로모프 박사가 말하는 수학의 매력 ↓
이 책을 보다보면 이처럼 수학자들의 주옥같은 말들이 쏟아져 하나하나 받아두고 두고두고 새기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진다.
그리고 내가 원했던 '수학'선생님이 됐으니 나도 나름 수학자의 마음으로 살고 싶은 마음도 간절해졌다. 머리가 나쁘다며 아이들을 탓하는 못된 샘이 아니라 모르는 수학을 재밌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좋은 샘이 되고 싶은 마음이...
책의 에필로그 부분에는 페렐만 박사의 은사님인 아브라모프선생님과 페렐만 박사를 찾아가는 과정이 나온다.
여기서 아브라모프 선생님이 페렐만 박사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며 니콜라에비치 콜모고로프의 말을 인용한다.
푸앵카레 추측은 위상수학의 한 명제이다.
위상기하학에서, 2차원 구면은 단일연결이라는 근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푸앵카레 추측은 3차원 표면에서도 구에 대해 그러한 사실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하나의 닫힌 3차원 공간에서 모든 폐곡선이 수축되어 하나의 점이 될 수 있다면 이 공간은 반드시 원구로 변형될 수 있다고 앙리 푸앵카레가 1904년 처음 제기한 추측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그러나 이 문제는 우리를 아득히 먼 세계로 데려갈 것이다."
- 앙리 푸앵카레, 1904년
- 앙리 푸앵카레, 1904년